학기 | 구분 | 과목명 | 학점/시간 | 교육목표 |
---|---|---|---|---|
1 |
교양선택 | 진로세미나/SENIOR SEMINAR |
1/1 |
- |
교양필수 | K-컬처창업기획 /K-CLUTURE STARTUP PLANNING |
3/3 |
- | |
전공선택 |
공연예술기획 /PERFORMING ARTS PLANNING |
3/3 |
공연예술 산업 동향과 트렌드 및 공연 시작 관객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과정을 통해 공연예술 문화 트렌드를 정확히 파악하고 흐름을 예측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한다. 이를 기반으로 하여 도출 된 독창적인 컨셉과 차별화된 전략에 따라 공연프로젝트 기획서를 작성함으로써 창의적인 문화 콘텐 츠 개발 역량을 함양토록 한다. |
|
전공선택 |
공연제작과 세계연극사 /PERFORMANCE PRODUCTION AND THEATER HISTORY |
3/3 |
본 과목은 공연예술의 의미 및 각 시대별 대표적 세계연극 철학, 공연, 작가, 희곡, 무대 등의 다양한 표현을 분석하고자 한다. 이를 통해 학생들이 공연예술 관련 새로운 비전을 찾고, 이와 연계된 공연 예술 전문가로 나아가기 위한 목표로 진행된다. |
|
전공선택 |
스토리텔링워크숍 /STORYTELLING WORKSHOP |
2/3 |
스토리텔링의 실제적인 작품을 제작한다. 이 중 각 장르별(영화, 드라마, 브랜드, 가사 등)로 개인별 조별 작품을 제작한다. 이는 스무 가지의 대표적 플롯 유형에 맞추어 제작하도록 한다. |
|
전공선택 |
신화읽기/READING MYTHS |
3/3 |
동서양의 신화를 읽고 이해하며 그 바탕에 깔린 인간 정신의 원형과 스토리텔링의 구조를 이해하여, 문화생산에 접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. |
|
전공선택 |
연기의기초/BASIC OF ACTING |
2/3 |
기초적인 훈련에서부터 동서양의 다양한 연기훈련에 이르기까지 효율적이고 차별화된 연기 교육을 통해 정체성과 전문성을 지닌 연기자로서의 역량을 갖추기로 한다. |
|
전공선택 |
영상과페미니즘 /FILM AND FEMINISM |
3/3 |
본 과목은 학제각 융합과목으로, 페미니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영상자료(특히 영화)를 분 석하며 우리 사회에 내재된 다양한 여성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한다. |
학기 | 구분 | 과목명 | 학점/시간 | 교육목표 |
---|---|---|---|---|
2 |
교양필수 | K-컬처와4차산업혁명 /K-CULTURE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|
3/3 |
- |
전공선택 | 공연양식과무대형상화 /PERFORMANCE FORM AND STAGE IMAGERY |
2/3 |
공연 및 문화예술을 활용한 무대의 전반적인 개념과 유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. 또한 다양한 공 연 및 문화 예술의 무대 사례를 살펴보고, 향후 학생들이 전문가로 나아가기 위한 기획력을 갖추는데 목적이 있다. |
|
전공선택 |
문화콘텐츠산업론 /CULTURAL CONTENTS INDUSTRY |
3/3 |
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개념과 현황을 알아본다. 문화산업으로서 성공한 영화, 음악, 게임, 방송영 상, 만화 등의 실제적인 특징을 고찰하여 문화소비자를 이해하고자 한다. 또한 미래의 성장을 주도할 수 있는 문화상품과 문화콘텐츠산업의 전략을 알아본다. |
|
전공선택 |
음악공연의이해 /UNDERSTANDING MUSIC PERFORMANCE |
2/3 |
K-뮤직의 다양한 음악공연 분야와 장르에 대해 이해하고 전문 지식을 습득한다. |
|
전공선택 |
이미지메이킹과오디션 /IMAGE MAKING AND AUDITION |
3/3 |
각자의 이미지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익히고 다양한 오디션 현장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. |
|
전공선택 |
이야기와문화비교 /COMPARISON OF STORY AND CULTURE |
3/3 |
이야기라는 매체를 통하여 상호문화능력(Intercultural Competence)을 함양한다. 이후 자민족 문화 중심주의를 넘어선 다문화적 역동성과 다양성을 이해한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