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직위
- 조교수
- 전화번호
- 7448
- 담당과목
- 육아휴직(2022년 1학기~현재)
- 전공분야
- 공연예술기획, 문화예술경영, 문화예술정책, 문화콘텐츠
- 연구실
세부사항
2022.03.01~현재 / 육아휴직
연구분야
- 공연예술기획, 문화예술경영, 문화예술정책, 문화콘텐츠, 문화산업, 문화예술교육, 축제, 메세나
전공
- 공연예술기획, 문화예술경영, 문화예술정책, 문화콘텐츠
학력
- 동덕여자대학교 방송연예과, 문학사
-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예술협동과정, 공연예술학 석사
-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예술학협동과정, 예술학 박사
주요 논문
- 문화적 도시재생을 활용한 문화관광지 사례 연구 : 일본 야네단 마을을 중심으로, 『문화산업연구』, 2020
- 지역예술축제의 거버넌스 구조에 따른 서비스품질과 스토리텔링이 방문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: 브랜드 자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, 『상품학연구』, 2020
-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운영 방안에 관한 사례연구: 일본 하나아트센터와 수원 에이블아트센터를 중심으로, 『상품학연구』, 2019
- 케이팝(K-POP)을 위한 스토리텔링 전략에 관한 연구: 방탄소년단(BTS)을 중심으로, 『문화산업연구』, 2019
- 지역 문화공간으로서 작은영화관의 현황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: 영국 농촌영화관 지원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, 『상품학연구』, 2018
- 문화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국제영화제의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: 부산국제영화제와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를 중심으로, 『상품학연구』, 2017
- 다문화예술교육의 운영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 : 국경 없는 문화 도시 천안만들기를 중심으로, 『문화예술교육연구』, 2017
- 지역예술축제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: 거창국제연극제와 수원연극축제를 중심으로, 『관광연구』, 2016
-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문화예술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: 영과잉 음이항 모형을 중심으로, 『상품학연구』, 2016
- 다문화가정 청소년 융합교육의 현황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: 문화예술과 인문학의 융합교육 과정을 바탕으로, 『한중미래연구』, 2016
- 지역예술축제의 서비스품질과 스토리텔링이 브랜드 자산 및 방문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: 거창국제연극제를 중심으로, 『상품학연구』, 2015
- 기업 메세나 활동의 소비자 평가에 관한 연구 : 일치성과 보완성을 중심으로, 『상품학연구』, 2015
- 기업메세나의 현황과 개선 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: 심층면담을 중심으로, 『디자인융복합연구』, 2014
- 문화소외지역에서의 문화예술교육 사례 연구 : 부산 녹명윈드오케스트라를 중심으로, 『문화예술교육연구』, 2014
- 문화소외지역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연구 : 동아일보 연천 사례를 중심으로, 『문화산업연구』, 2014
- 글로컬리즘을 향한 지역축제의 운영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: 아비뇽 페스티벌을 중심으로, 『관광학연구』, 2013
주요 저서
- 융합예술의 이론과 실재II, 도서출판 상, 2015